NEWS

이스포츠 소식

KT스포츠 송해영 실장, "KT롤스터의 프랜차이즈 준비, 순조롭게 진행중이다"

  • 관리자
  • 2020-07-27
KT스포츠 송해영 경영기획실장(상무)이 수원KT위즈파크에 마련된 KT롤스터 수상 트로피를 배경으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수원=박재만 기자 pjm@sportschosun.com

 


"KT는 이미 계획을 다 세워 놓았습니다."

LCK(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는 내년부터 프랜차이즈 체제에 돌입할 예정이다. e스포츠가 야구나 축구에 버금가는 본격적인 프로화의 길로 접어든다는 얘기다.

최대 10개팀이 프랜차이즈 출범을 함께 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21개사가 도전장을 내민 상태다. 단순 경쟁률로도 2대1이 넘는다. 이 가운데 LCK가 현재의 체제를 갖춘 지난 2015년부터 함께 했던 팀들이 당연히 기여도 측면에서 유리한 것은 사실이다. 팬덤과 인기는 물론 6년간 구축해온 시스템은 신생팀들이 단기간에 만들기 힘든 이들만의 강점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LCK는 물론 한국 e스포츠의 역사를 써온 KT롤스터가 프랜차이즈 참여에 미온적이란 소식이 업계에서 흘러나오기 시작했다. 100억원이 넘는 참가비는 차치하더라도 굳이 e스포츠단을 계속 유지해나갈 명분을 찾지 못한 것이 이유란 얘기도 나왔다. 통신업계뿐 아니라 e스포츠의 대표적인 라이벌 구단인 SK텔레콤 T1이 미국의 컴캐스트 자본을 끌어들여 e스포츠 전문구단인 T1을 만든 것과 비교가 되면서 더욱 그런 것이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업계뿐 아니라 팬들로부터 제기됐다.

하지만 지난 22일 수원KT위즈파크에서 만난 KT스포츠 송해영 경영기획실장(상무)은 "KT롤스터는 프랜차이즈에 무조건 참가한다"고 단호하게 말했다. KT스포츠는 KT가 운영하는 5개 종목 스포츠팀(야구, 농구, e스포츠, 하키, 사격)을 총괄하는 스포츠 전문기업이다. 이 가운데 기획 및 전략 전문가인 송 실장이 지난해부터 열띤 스터디를 통해 가장 공을 들이는 팀은 단연 KT롤스터이다. 송 실장은 그룹에 e스포츠의 가치를 지속적으로 전파, 지난 3월 새롭게 취임한 구현모 KT 대표이사로부터 적극 추진하라는 임무도 부여받았다.

송 실장은 "KT롤스터는 KTF에서 1999년에 국내 최초로 만든 e스포츠 구단으로 올해로 21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며 "이런 유산(레거시)을 계속 이어나가야 하는 것이 KT의 첫번째 임무"라고 설명했다. 이어 "KT는 e스포츠의 가치를 가장 먼저 발견한 회사다. e스포츠는 당시는 10~20대, 이제는 10~30대의 세대와 가장 긴밀하게 소통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성장했다. 다른 산업의 혁신을 리딩하는 것이 ICT기업의 역할인데 e스포츠가 현재, 그리고 미래에도 이를 이끌 것은 분명하다"고 강조했다.

송 실장은 시장과 팬으로부터 제기된 걱정도 잘 알고 있었다. 특히 KT는 지난 2007년 프로야구단 현대 유니콘스(현 키움 히어로즈)의 인수 직전까지 갔다가 내부에서의 반대로 인한 미온적인 행보로 이를 놓친 후 2013년 KT위즈를 뒤늦게 창단해 힘든 시기를 보낸 아픈 기억을 가지고 있다. 이에 대해 송 실장은 "이런 후회는 다시 반복되지 않을 것"이라며 "KT는 모든 계획을 다 세워놨다"고 설명했다.

송 실장에 따르면 KT는 지난해부터 본격적으로 프랜차이즈 참여에 대한 본격적인 준비를 시작했다. '왜 참여해야 하나'는 근원적인 질문으로부터 시작한 스터디는 1년이 넘는 치열한 고민 끝에 확실한 방향성을 잡게 됐다. 송 실장은 "다소 오랜 시간 고민을 하다보니 외부에선 준비를 안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었다"며 "한국에서 스포츠 구단을 운영하는 것은 사회공헌이나 마케팅 활동이 주 목적이다. 하지만 e스포츠 프랜차이즈는 이에 더해 수익성까지 담보할 수 있다는 결론에 이르게 됐다"고 말했다. 그 이유로 "e스포츠는 글로벌 확장성이 풍부하다. 또 e스포츠는 디지털 모바일에 최적화된 콘텐츠로서 가치가 높다. 지속 가능한 성장에도 가장 부합한 콘텐츠가 바로 e스포츠"라며 "더불어 명확한 타깃층의 팬덤을 보유하고 있는데다 정체된 다른 스포츠와 달리 지속적인 성장중이라는 매력도 가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방향성을 잡은 KT는 올해부터 프랜차이즈 출범 이후를 본격적으로 준비하고 있다. 리그 수익배분과 중계권, 스폰서 등 프랜차이즈 참여로 얻을 수익 외에도 자체 콘텐츠 생산과 스폰서 유치, 아카데미 운영 등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을 구상하고 갖춰나가고 있다. 송 실장은 "KT는 레거시 스포츠와 신흥 스포츠를 함께 운영하는 유일한 스포츠 전문집단이다. 양쪽의 벤치마킹과 함께 시너지 효과 발휘는 다른 e스포츠 전문사들이 가지지 못한 KT의 최고 강점"이라며 "물론 롤스터를 더 전문 구단으로 만들기 위해선 파트너들과의 다양한 협업도 필수적이다. MCN 미디어 콘텐츠를 운영하는 회사, MD를 잘 만들어 온 회사 등 함께 성장할 전략적 투자자(SI)와 적극적으로 손을 잡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끝으로 송 실장은 "KT는 한국 e스포츠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발전에 가장 공헌을 했다고 자부한다. 다른 회사들보다 움직임이 늦어보이지만 전혀 걱정하지 않으셔도 된다"며 "KT가 하면 다르다는 것을 이번에도 보여드리겠다. 또 국내뿐 아니라 전세계 팬들로부터 가장 사랑받는 KT롤스터가 되도록 열심히 준비하겠다. 지금처럼 한결같은 마음으로 KT의 행보를 지켜보고 응원해주시면 이에 반드시 보답하겠다"고 팬들에게 감사를 전했다.
 

22일 수원KT위즈파크에서 만난 KT스포츠 송해영 경영기획실장(상무)은 "LCK 프랜차이즈에서 활약할 KT롤스터의 행보를 기대해달라"고 말했다. 수원=박재만 기자 pjm@sportschosun.com

 

원문링크 - https://sports.chosun.com/news/ntype.htm?id=202007270100246050016840&servicedate=20200726

카카오톡 네이버톡톡